
분류 전체보기
[HTML]html의 block요소와 inline요소의 속성
>block요소 block요소는 기본값으로 한줄을 차지한다! 그렇기에 block요소 태그를 나열했을때 자동 줄바꿈 현상이 일어난다. width, height, padding(안쪽여백), margin(바깥여백) 값들을 적용할수있다. 그렇기에 화면구성이나 레이아웃을 짤때 적합하다. block요소는 inline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block요소 태그들을 포함 할 수 있다. 👉 block속성의 종류로는 h1~h6, div, p, ul, ol, li, header, nav, section, footer, article, aside, hr 등등... >inline요소 inline요소는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기에 inline요소들을 나열 했을때 한 행에 위치해 자신의 크기만큼 나열되는 속성을 가진다..
[HTML]html의 기본Tag종류
h태그는 제목태그입니다. 페이지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h1은 로고에 사용됩니다. 제목태그입니다. 섹션의 대제목으로 사용됩니다. 제목태그입니다. 섹션의 소제목으로 사용됩니다. 제목태그입니다. h4~h6 태그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목태그입니다. 제목태그입니다. p태그는 block요소로, 문단태그로 텍스트를 감싸는 태그입니다. 명확하게 문단으로 나눠서 레이아웃 배치와 스타일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span태그는 inline요소로 아무런 의미가없는 태그입니다. 영역을 묶거나 특정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하기위해 사용합니다. ol은 순차적 목록태그입니다. li는 ol의 항목을 작성할때 사용합니다. 물을 끓인다. 컵에 물을 따른다. 티백을 우린다. 차를 마신다. ul은 비순차적 목록태그입니다. li는 ..
[HTML]html문서의 기본구조
html의 기본 문서구조를 알아보자 문서를 만들기전 알아야 할것 반드시 확장명은 .html로! 꺽쇠()가 붙은것 하나하나가 태그(Tag) 작성한 태그를 닫을땐 으로 닫아주기! ex. vs code에 들어가 새 문서를 만들고 ! + TAB 또는 ENTER를 누르면 짜잔! 이런 기본 구조가 생성이 된다. 문서구조를 하나씩 뜯어보자 DOCTYPE html> 웹 브라우저에게 '이제부터 우리가 처리할 문서는 HTML5문서야!' 라고 알려주는 것이다. 웹 문서 시작을 알리는태그로 작성할 문서 정보와 내용이 시작되고 끝나는 것을 표시하는 태그이다. lang옆의 en은 문서의 언어가 영어라는뜻, 우리는 한글문서를 주로 작성하니 보통 ko로 수정해준다. 브라우저에서는 보이지는 않으나 페이지제목 및 디자인을 담당하는 CS..
[UI/UX]웹표준이란?
✨웹표준(web standards) 이란? 기존의 html 문서방식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보완하고 또한 일반사용자는 물론, 장애를 가진사람, 고령자등 누구나 쉽게 웹문서를공유할수있고 (웹접근성 web accessibility),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 ( PC, Mobile, PDA 등) 과 소프트웨어환경 (크로스브라우징) 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수있도록 W3C (국제웹표준화기구) 에서 웹 표준화 방식을 지정 권고한 것 입니다. 쉽게 정리해보면, ✔️ 웹 사이트를 만들 때 지켜야 하는 약속들을 정리한 것으로 ✔️ 웹 표준을 지켜서 사이트를 제작하면 장소, 브라우저와 상관없이 쉽게 사이트를 볼 수 있습니다. ✔️ 웹 표준으로 문서를 만들면 어떠한 기기에서도 볼 수 있기에 웹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시간을 절약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