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if조건문 - if 문은 지정한 조건식이 참인 경우 명령문(statement)을 실행한다. - if만 사용했을때 조건식이 false일 경우엔 종료된다. See the Pen [js]if조건문 by kaia (@kaiaakim) on CodePen. See the Pen [js]if조건문2 by kaia (@kaiaakim) on CodePen. #02 if~else조건문 - else문은 if에 지정한 조건식의 조건에 맞지않을 때(false일때) 실행된다. See the Pen [js]if~else조건문 by kaia (@kaiaakim) on CodePen. See the Pen [js]if~else조건문2 by kaia (@kaiaakim) on CodePen. See the Pen [js]if..
# 01 prompt대화상자 - prompt로 입력받은 값은 무조건 문자형으로 반환된다.(숫자열연산 불가) ** 예를들어 아래 코드펜에 작성된 prompt대화상자에 수학점수 10점 영어점수 4점 을 입력하면 변수 result에 작성된 연산식에 괄호안의 값이 10+4 가 14가 되는것이 아니라 문자형 입력순서값 그대로 104가 되어 2로 나눠져서 52라는 값을 갖게된다. ** See the Pen [js]prompt대화상자 by kaia (@kaiaakim) on CodePen. # 02 confirm대화상자 - Confirm() 함수는 변수에 참/거짓을 저장한 후에 반환하는 함수이다. - 확인과 취소버튼 두가지를 띄우며 사용자의 결과에 따라서 반환값이 달라진다. See the Pen [js]if~else..
#01 산술연산자 **** 써내려가는 순으로 값이 변경되는 기본사실 잊지말기! **** See the Pen 연산자 1 by kaia (@kaiaakim) on CodePen. #02 더하기연산자 See the Pen 더하기연산자 by kaia (@kaiaakim) on CodePen. #03 대입연산자 See the Pen 대입연산자 by kaia (@kaiaakim) on CodePen. #04 증감연산자 **** 써내려가는 순으로 값이 변경되는 기본사실 잊지말기! **** See the Pen 증감연산자 by kaia (@kaiaakim) on CodePen. #05 비교연산자(참과 거짓의 boolean형) See the Pen 비교연산자 by kaia (@kaiaakim) on CodePen. #..
#01 문자형 작성방법(string) - 세가지 방식으로 작성가능하다! const name = "Kaia"; const name = 'Kaia'; const name = `Kaia`; 1)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는 별 차이가 없으나, 작은따옴표를 쓸 경우가 있으면 큰따옴표로 감싸주는 것이 편하다. const message1 = "I'm a Boy" 2) 만약 작은따옴표만 써서 표현하고 싶을 때는 앞에 \를 사용(\를 특수문자로 인식) const message2 = 'I\m a Boy'; 3) ``(백틱)은 문자열안에 변수를 사용할 때 편리하다. const message3 = `My name is ${name}`; 4) 문자열 안에 숫자형과 연산자를 함께 사용 할 경우 const message4 = `나는 ..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abstract arguments boolean break byte case catch char class* const continue debugger default delete do double else enum* eval export* extends* false final finally float for function goto if implements import* in instanceof int interface let long native new null package private protected public return short static super* switch synchronized this throw throws transi..
# 변수란? - 변수란 값을 담을 수 있는 비어있는 그릇으로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 alert(); - 경고창을 띄우는함수 2) console.log(); - 로그를 찍는 함수를 사용 See the Pen 변수1 by kaia (@kaiaakim) on CodePen. # 변수 키워드의 종류 - var, let, const가 있는데 ES6부터는 주로 let과 const를 사용한다.(var은 자잘한 오류들이 발생한다고 한다..) # let, const 키워드! - 변하지 않는 상수값은 const(상수는 대문자로 선언하여서 다른 개발자에게 상수임을 알림 //개발자 간의 약속이다)를 사용한다.//값(데이터)의 재할당 불가능 - 변할 수 있는 값..